예전부터 통화 녹음은 필수라 skvalex 개발자가 개발한 Callrecorder를 비싼 돈 주고 몇 년간 사용하였지만, 이번 년도 5월 이후 플레이 스토어에서 내려간 이후 올라올 생각을 안하고 있어, 하는 수 없이 다른 통화 녹음 어플을 찾게 되었는데요.


조회수도 많고 사용자도 많은 듯하여, 이번에는 통화 녹음 앱인 ACR 대해서 포스팅을 합니다.


일부 국가에서는 통화 녹음이 불법으로 인정되어 국가에 따라 사용 여부가 다르지만, 증거로는 인정되는 희한한 제도로 인하여 불법이라도 써야할 것 같은 통화 녹음 기능인데요.


이렇게 사실상 필수적이라 봐도 되는 통화 녹음은 대부분 통화 녹음을 지원합니다만, 일일이 통화때마다 녹음 버튼을 눌러줘야 하고 파일 정리가 다소 접근하기 힘들게 구성되어 있어 자동 녹음 앱을 찾게 됩니다.


본론으로 넘어와 ACR를 살펴보면,


통화 시(발신, 수신 시) 자동으로 녹음이 켜져, 상대방의 목소리와 내 목소리의 양방향 소리를 모두 녹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Pro버전을 사용 시 간혹 잘 못 걸어 바로 끄게 되는 통화 내에서 녹음이 안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다음으로 포맷 형식을 살펴보면, 녹음 시 저장되는 코덱도 다양하게 지원하는데, 대표적으로 mp3, mp4, m4a, wav, flac 등을 지원하며 고품질 저장을 위해 각 코덱별로 뒤에 '-HQ'에 붙은 옵션들이 존재합니다.


이 코덱은 Pro 라이선스를 구매하면, 전화번호 별로 따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저장된 녹음 파일에 추가로 메모를 해서 나중에 찾아 볼 수 있게 접근성을 향상 시킬 수도 있고,



Pro 버전에 한해서 클라우드에 자동 업로드하여 백업 및 쉽게 PC에서 녹음 파일을 들을 수 있습니다.


가볍게 자동녹음과 녹음 파일을 듣는 정도라면 무료 버전 내에서 충분히 가능하고, 좀 더 고급 기능들을 이용하면, 좀 더 편한 연동이 되는 것이니, 사용 후 사용성에 따라 라이선스를 구매하시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무리 합니다.


ACR 플레이 스토어 주소 :

무료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nll.acr

Pro용 라이선스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nll.acr.license





이번에 소개할 안드로이드 앱은 웹 검색 + 키보드 기능이 합쳐진 키보드 앱으로 네이버에서 개발한 '스마트보드' 입니다.


키보드 앱 자체에 네이버 검색과 연동되어 메세지 작성중,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여 결과값으로 나온 쇼핑몰, 블로그 등 컨텐츠를 바로 링크 메세지로 공유할 수 있게 만들어졌으며, 또한 번역기도 내장돼 있어 입력란에 글자를 쓰면 메시지 창에는 번역 결과물이 동시에 작성되는 아주 편리한 기능을 장점을 가진 키보드 앱입니다.


대표적인 기능

-웹 검색의 링크화

-문구 등록

-두벌식, 단모음, 천지인, 나랏글

-번역


플레이스토어 주소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navercorp.android.smartboard


웹 검색 사용법

키보드 좌측 상단에 N버튼을 터치하고 입력박스에 검색어를 입력합니다. 



결과값으로 나온 쇼핑, 포스트를 터치하면 현재 작성중인 메세지 란에 링크가 기입됩니다.



번역

키보드 우측 상단에 한영버튼을 터치하시고 입력박스란에 내용을 입력합니다.



그럼 자동으로 메세지 창에서는 영문이 입력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처럼 네이버의 웹검색과 번역에 특화된 +키보드 앱으로 웹 검색 결과의 양과 인터페이스가 좀 더 편해 진다면 확실히 애용할 만한 가치가 있지만, 키보드 앱을 기본으로 한 추가 컨텐츠인 앱인데도 불구하고 기본인 키보드 성능은 인식 범위가 그렇게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 가령 천지인에서 ㅗ를 입력하기 위해 획과 ㅡ를 누르면 씹히기도 하며, 길게 터치하는 시간 조절 기능도 없으며, 위치정보, 날씨등 불필요한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어 배터리 소모량이 많은 단점이 보여서, 스마트보드의 특징적인 기능이 좀 더 발전하고, 키보드 쪽 기능이 안정화가 될 때야 애용할 수 있는 키보드 어플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성인 기준으로 하루 권장 물 섭취량은 대략 2L로 많이들 물을 먹는 습관을 들이시려 하실겁니다. 맹물이 힘들어 탄산수를 마시는 분들도 계실테고요. 하지만 물 먹는 습관은 바쁜 일상속에서 쉽게 잊어버리기 때문에 생각나면 몰아 마시는 일이 종종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물은 자주 마시고 싶지만, 신경 쓰지 못 하고 깜박하는 하는 분들을 위해 자기 신체에 맞는 권장 양과 섭취 시간을 알리주는 코칭 앱을 소개하겠습니다.

플레이스토어 주소

소개
앱을 실행 - 구글 로그인 - 성명,나이,체중 기입 - 운동빈도 선택 - 활동시간을 기본적으로 입력하고 나면 하루에 권장 물 섭취량이 정해집니다.

저의 경우 하루에 1.25L를 목표로 하네요.


목표량이 정해지면 하루 활동 시간을 기준으로 10번 나뉘어서 알림이 뜨는데.



이때 먹은 섭취량은 고정값이 아니고, 그때그때 선택해서 할 수 있어, 유동적으로 물량을 조절해서 하루 목표량을 채우실 수 있습니다.

한 번 먹을 때마다 한 칸씩 채워집니다.


통계도 지원하고 있어, 매일 매일 알림에 따라, 혹은 먹은 시간에 일일이 기록했으면 내가 얼마나 잘 먹는 지 얼마나 먹는 지를 주 단위 월 단위로 피드백이 가능하니, 물 섭취하는 데 참고할 자료가 될 것입니다.



마무리

평소에 물을 잘 먹지 않는 분들도 이번 계기를 통해 하루에 한 번이라도 더 마실 수 있는 계기가 되셨으면 좋겠네요. 이상 포스팅을 마무리 합니다.



 찍은 사진을 애니메이션화 만화화 하고 싶으신 적없나요? 신카이마코토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풍경처럼 찍은 사진을 애니메이션처럼 만들어는 주는 앱인 EverFilter를 소개합니다.

 이미 신카이마코토처럼 사진을 바꿔주는 것으로 유명해진 앱으로 결과물이 상당히 좋아서 추천을 안 드릴 수가 없습니다.

플레이스토 주소

비교사진



 위의 사진처럼 막찍어도 멋들어지는 결과물을 만들어 줍니다.

 또한 사용방법도 간단힌 사진만 불러오면 따로 설정 할 것이 없이(할 수도 없고) 바로 결과물을 주기 때문에, 쉽게 즉석에서 바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G6나 갤럭시 S8 화면을 보시면 화면 끝 모서리가 둥근 모습을 보실 수 있는데, 이와 같게 둥글에 만들어주는 앱을 소개합니다. 

 핸드폰 꾸미기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좋아할 만한 앱이 아닐까 싶습니다.

플레이스 스토어 주소


설정 방법
 1. 가장 먼저 앱을 활성화 하려면 접근성 설정에서 Round Corners를 활성화를 해야 합니다.

 2. 앱을 처음 실행하면 접근성(Accessibility Servies) 활성화을 위한 메뉴 혹은 창이 띄워지는 데 , 이를 통해 접근성 설정으로 들어가면  메뉴 하단에 Round Corners가 있을 것 입니다.


 3. 해당 항목으로 들어가 설정을 활성화 시켜주시면 활성화를 위한 설정을 완료 되었습니다.



 4. 다음으로 다시 Round Corners 앱으로 돌아와 둥근 모서리를 활성을 먼저 켜시고, 모서리의 둥근모양의 크기를 설정하시고 완료하시면 됩니다.


마무리


 이상으로 상단만 원하시면 Bottom Corner 부분을 모두 비활성 하시면 하단 부분은 모서리를 풀 수 있습니다,



 사진 백업용으로 혹은 공유용으로 클라우드나 구글 포토를 이용하는 분들이 많으시리라 생각합니다. 구글 포토인 경우 따로 용량을 구매 하지 않는 이상 기본용량이나 어느정도 재압축 하는 형식으로 찍은 사진 그대로 올라가지 않는데, "Flickr" "1TB의 용량을 무료"로 제공하며 이미지 파일에 대해 재 압축이 없어 사진 공유용, 사진 백업용으로 적당하게 이용하실 수 있는 컨텐츠라 생각 됩니다.


 다만 1TB를 제공하는 대신 그 밖에 자동 업로드을 이용하려면 결제를 해야만 이용할 수 있어  다소 업로드시 불편한 감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하지만 모바일 앱은 자동업로드도 되기에 스마트폰에서 찍은 사진은 경우나 옮겨 담은 사진의 경우 제한 없이 이용하 실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사이트 주소 

홈페이지 : https://www.flickr.com/


  결제 정보 



  회원가입 

 야후에 가입된 계정이 있다면 야후계정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없다면 가입해야 하는데 아래 스샷처럼 요구사항이 많이 않아 쉽게 가입 하실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앱 다운받기 

 국내는 Flick 앱을 받을 수 없게 국가 제한을 걸어 놓고 있어서 위의 안드로이드 앱 주소로 들어가 이전에 써놓은 http://tysct.tistory.com/120의 포스팅을 참고하시어 받아 주시기 바랍니다.


  업로드 방법(PC&안드로이드) 

PC버전

1. 회원가입 후 사이트 상단에 위치한 메뉴중 구름모양 업로드 버튼을 눌러주세요



2.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뜨면 드래그앤드롭 하셔도 되고 선택 버튼 탐색기창을 띄우고 올리시면 됩니다.


3. 올릴 파일을 선택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소유자 공개 범위, 앨범, 태그등 올리기 전 게시글에 대한 정보 수정이 이뤄집니다. 완료하셨으면 우측 상단에 사진 업로드 버튼을 눌러주세요



4. 업로드 후 개인 페이지로 오시면 사진이 잘 업로드 된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앨범을 만들어서 업로드 하셨다면 앨범 속에 들어가 있지요.



스마트폰 버전

1. 먼저 자동 업로드 켜는 방법부터 설명 드리겠습니다. 개인프로필에 가서 우측에 메뉴 버튼 누르면 Auto-Uploadr버튼을 눌러줍니다.



2. 그리고 중간의 Auto Uploadr설정을 켜주세요. 그러면 스마트폰에 있는 사진을 모두 검색 후 자동으로 업로드를 진행합니다.



3. 원하는 사진만 수동으로 올리는 방법은 상단에 카메라 버튼을 눌러서 카메라 화면을 띄워주시면,


4. 하단에 미리보기 버튼이 있습니다. 터치해서 갤러리 어플로 들어가세요.


5.원하는 사진이 속한 폴더를 찾아 사진을 선택 후 완료를 눌러 줍니다.


6. 마무리로 공개여부 및 코멘트를 적고 업로드 하시면 완료됩니다.


7. 그럼 프로필에서 업로드된 사진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PC버전만 자동업로드를 지원하지 않을 뿐 스마트폰에서는 자동 업로드를 지원하고 있으며, PC버전에서 업로드 하려고 해도 테마별, 앨범별로 나눠서 업로드 하시는게 더 좋고, 한 번에 구분 없이 올리시고 사이트에서 구분하려고 하면 오히려 시간이 더 소요되는 부분이 있기때문에 미리 PC에서 구분 해놓으시고 업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언론사 관계없이 한 곳에 몰아 보여주는 뉴스 앱(Android News App)을 소개 하겠습니다. 할인 할 때 괜찮은 거 같아서 구매 했는데 상당히 좋은 어플임을 느끼고 글을 쓸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포스팅을 합니다. 

 현재 자주 검색되고 화제가 되는 내용을 상단에 계속 표시되며, 그 보다는 낮은 빈도의 다뤄지는 기사를 표시해주는데, 이걸 알림으로 알려줘서 굳이 사이드를 들어가지 않고 간략하고 소식을 접하기에는 상당히 좋습니다.  한 번에 보여지는 기사의 갯 수도 지정 할 수 있고, 해외 국내는 물론 장르까지 선택하며, 원하는 키워드를 설정해서 원하는 분야만을 보여지게하는 등 가벼운데 비해 필요한 기능은 다 있어 추천을 안 할 수가 없었네요.

  다운로드 주소 


  사용법 
1.좌측 메뉴를 눌러 Settings 옵션에 들어갑니다.


2. 상단 Notifications 기능은 한 번에 알림 올 기사의 갯수를 말하는 것이므로 원하시는 갯수로 선택하여주시고, 아래는 국가 그 하위 항목으로 분야가 나와있습니다.  


3.그리고 상단에 =+모양의 메뉴 추가 버튼을 누르면 키워드를 지정할 수 있는데, 보여지고 싶은 키워드가 있다면 내용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메인페이지]


  마무리 
 사용성 면에서도 아주 편리하며 틈틈히 알림을 떠주는 덕에 간편히 기사를 볼 수 있고, 언론에 대해 깊이는 아니더라도 겉핥기 식으로라도 세상 돌아가는 사정을 알고 싶은 분들에게 좋은 앱이 아닐까 싶습니다. 

 다만 언론사를 설정할 수 없다는 면이 아쉽긴 합니다. 이상으로 소개글을 마칩니다.





말이 필요 없는 안드로이드의 최고의 클라우드 동기화 앱인 FolderSync입니다.


출시 된 지도 오래됐지만, 아직까지 업데이트를 해주고 있어 더욱더 추천할 만한 앱이며, 풀버전 사용자는 베타테스트도 지원할 수 있어 Stable 버전이 나오기 전에 먼저 체험할 수도 있습니다.

  다운로드 주소  

 
유료버전 기능
- Multiple accounts (full version)
- Tasker/locale support (full version)
- User defined sync filters (full version)
- No ads (full version)

  외장메모리 쓰기 권한 

 사용 설명에 앞서 먼저 외장메모리를 사용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위장메모리 쓰기 권한부터 시작하겠습니다.
1. 메뉴 -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2. 설정sd카드 항목에 외부 저장소 사용권한을 선택해주세요


3. 그럼 확인창이 띄워지며 확인을 누르면 안드로이드 파일 탐색기가 띄워지는데 SD카드 들어가서 하단의 선택 버튼을 눌러줍니다.




  사용방법 

1. 먼저 클라우드 혹은 프로토콜의 계정을 등록하는 방법부터 시작하겠습니다.



2. 메인페이지에서 계정에 들어가 하단에 +버튼을 눌러 계정추가를 진행하세요.


3. 앞서 적어놓은 지원 클라우드와 프로토콜 목록을 띄워지는데, 포스팅은 구글 드라이브로 진행하겠습니다.


4. 해당 계정을 선택하면 각각의 계정 인증 절차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등록을 완료해주세요.


5. 이제 동기화할 폴더를 선택해야합니다. 메인페이지에서 Folderpairs 항목에 들어갑니다.


6. 그럼 하단의 +버튼을 누르면 폴더 동기화를 위한 작업이 시작되는데 먼저 계정부분에 원하는 계정을 선택합니다.



7. 다음으로 동기화 방식에 대한 설정인데, 먼저 로컬폴더란 스마트폰의 내외장 폴더를 얘기하며, 원격폴더는 등록한 계정의 폴더를 얘기합니다. 포스팅기준으로 설명하면 구글을 등록했으니 구글드라이브가 원격폴더가 되겠지요.

 원하는 단방향, 양방향을 선택 합니다.


7. 아래의 스크린샷은 우선 기본값이며, 번역이 잘 되어있기에 따로는 설명드릴 것이 없지만, Instant sync에 관해서만 설명을 드리고 넘어가면, 로컬폴더에 파일이 생성된다면(다운로드, 카메라 등등), OS에서 색인이 완료되면 바로 동기화가 이뤄지는 기능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진행절차를 예로 들으면, 카메라로 사진을 찍으면, 사진 파일이 생성되고, OS에서 파일을 색인하면, Foldersync가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동기화를 실행


 추가로 밑의 설정이 더 있지만, 기본값으로 충분하기에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필터를 통한 원하는 파일을 동기화 하거나 하지않거나 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필터를 이용하시면 좀더 편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간의 업데이트 공백기도 살짝 있었지만, 몇 년째 업데이트가 이뤄지는 몇 안되는 좋은 앱이며 완성도 또한 높기에 선호도가 높은 앱 중 하나 입니다. 다만 Filckr가 지원되지 않아 살짝 아쉽긴하네요.




 한 동안 무료로 풀면서 개발자 및 앱을 광고한 유료 앱인 HDM Dev Team의 ScreenShot Pro를 소개합니다.

무료로 풀리면서 현재까지 스마트폰 스크린샷을 캡쳐 할 때 애용하고 있으며, 포스팅 자료 또한 이 앱을 통해서 자료를 구축하고 글을 쓰고 있습니다.


앱을 다운 받고 실행하면 메인 메뉴들이 존재 하는데 캡쳐 상단의 시작 버튼을 눌러주면 기본적으로 알림바에 해당 어플이 고정이 되며 스크린샷을 찍고자 할 때 알림을 눌러 누면 아래와 같이 카메라 녹화버튼과 정지 버튼이 띄워 지는데 이 두개의 아이콘으로 스크린샷을 캡쳐하거나 플로팅 아이콘을 없앴을 수 있습니다.


녹화 아이콘을 누르게 되면 플로팅 아이콘들이 없어지면서 캡쳐줘 이루어 지는 식으로 확장자는 JPG고정인 듯합니다. 덕분에 가볍에 스샷찍고 자료를 구축하는 데 불편함이 없어 자주 애용하고 있네요.


아래는 기본적으로 캡쳐시 지원하는 옵션으로 원하는 옵션을 선택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포스팅 기준으로 0.99달러의 가격을 책정하고 있는데, 값어치 면에서는 미묘하네요.



  소개 

 스마트폰에서 PC를 원격 조종하는 앱으로 마소(Microsoft)에서 직접 개발한 안드로이드용 원격 조정 앱입니다.
 반응 속도도 빠르고, 가볍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설정방법 
 우선 Windows에서 원격조정을 허용하는 설정부터 시작하겠습니다.
1. 제어판->시스템->고급 시스템 설정에 들어갑니다.



2. 원격탭에 들어가 원격 지원에 관한 설정 항목 3가지를 켜 줍니다. (이 컴퓨터에 대한 원격 지원 연결 허용 박스 체크, 이 컴퓨터에 대한 원격 연결 허용 체크, 네트워크 수준 인증을 사용하여 원격 데스크톱을 실행하는 컴퓨터에서만 연결 허용 체크)



 그 다음으로 스마트폰으로 넘어와 앱을 실행하고, 원격 조정할 컴퓨터를 등록합니다.

1.  +버튼을 누르고 Desktop를 선택합니다.


2. 그럼 같은 공유기 내에 컴퓨터가 켜져 있다면 자동으로 리스트에 원격가능한 데스크톱 목록이 뜹니다. 맞다면 선택해서 등록합니다.



3. 이제 등록된 컴퓨터를 접속하면 로그인 창이 띄워지는데,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로그인 계정으로 접속하시면 됩니다.


4. 접속이 완료 되면, 아래와 같이 원격 조정화면이 뜨면서 데스크톱 모니터는 사용자전환 페이지로 넘어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다만 위의 화면은 실제로 원격 조정하기에 불편하기 때문에 간단한 화면 조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6. 원격조정을 종료하고 메인 화면으로 넘어와 메뉴 - Display 메뉴로 들어갑니다.


7. 그리고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합니다. Orientation(화면전환)- "Lock to landscape"를 Resolution(해상도)는 +custom을 눌러 1920x1080 scaling 100%,설정 후 재접속 합니다.


8. 원격을 다시 들어오면 아까보다 훨씬 나은 화면을 띄워줍니다.




  원격 조작방법 

 마우스 포인터의 경우 터치후 슬라이드로 식으로 밀면 포인터가 따라가고 터치하면 그 위치에 마우스가 이동합니다, 더블 터치를 할 경우 "클릭", 터치를 길게 누르면 "측 버튼 클릭", 두 손각으로 멀티 터치후 슬라이드 하면 "마우스 스크롤"을 이용할 수 있으며, 키보드는 위의 키보드 아이콘을 누르면 키보드가 활성화 되어 원하는 영역에 클릭 후 키보드를 띄워서 내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후기 
  가벼우면서도 필요할 건 다 들어가서 이용하기에 이보다 간편한 앱도 드물네요, 무엇보다 무료로 이용가능하다는 선에서 이반큼 반응이 빠른 앱은 없다고 봅니다.





+ Recent posts